본문 바로가기

산부인과 이야기

자궁내막증 VS 자궁내막증식증은 다른 질환인가요? [마산자궁질환/마산산부인과/마산자궁내막증/마산자궁내막증식증/마산생리통/마산생리과다/마산부정출혈/마산골반통/마산성교통]

 

 

 

 

 

 

 

 

 

 

 

 

 

 

자궁은 여성에게

굉장히 중요한 신체 기관입니다.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기도 하고,

이를 준비하기 위해

매달 월경을 하기도 합니다.

 

 

 

 

 

 

 

 

 

 

 

 

 

 

 

자궁・난소 질환은

월경이 늦어지거나, 무월경이 오거나

생리통이 심해지는 등

평소와 다른 증상이 생김에 따라

자신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자궁질환 중 이름이 유사한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증식증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식증 #마산자궁질환

 

 

 

 

 

 

 

 

 

 

 

 

 

 

 

 

자궁내막은 자궁의 안쪽 벽에

쿠션처럼 깔린 조직으로

생리주기에 따라 두꺼워지고

얇아지기를 반복합니다.

 

 

 

 

 

 

 

 

 

 

 

 

 

 

 

임신이 됐을 때 태아가 착상하는 부분으로

임신이 되지 않는다면

내막의 일부가 생리혈로

떨어져 나가게 됩니다.

 

 

 

 

 

 

 

 

 

 

 

 

 

 

 

“생리혈의 80%는

자궁내막조직입니다”

 

 

 

 

 

 

 

 

 

 

 

 

 

 

 

 

|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증식증이란?

 

 

 

 

 

 

 

 

[       자궁내막증     ]

 

#마산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

자궁에 생기는 병이 아닌

자궁 내막이 아닌 다양한 곳에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난소에 생기고

(자궁내막증에 의해 난소에 형성된

혹은 자궁내막종이라고 합니다.)

장, 방광, 요관 등에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골반을 벗어나

폐나 피부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자궁 내막에 있는 조직이

자궁 밖의 다른 부위에 침투하거나

증식하면서 생리 때마다 그 조직에

염증과 유착 등을 일으키면서

기능을 손상 시킬 수 있습니다.

 

 

 

 

 

 

 

 

 

 

 

 

 

 

 

 

 

 

“국내 여성의 약 10% 이상에서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자궁내막증의 원인

정확히 밝혀진 것이 없지만,

생리혈이 바깥으로 흐르지 않고

뱃속으로 역류되어 발생한다는

가설이 가장 잘 알려졌습니다.

 

 

 

 

 

 

 

 

 

 

 

 

 

 

 

 

 

 

“자궁내막증은 한 가지 원인보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 더 유력합니다.”

 

 

 

 

 

 

 

 

 

 

 

 

 

 

 

 

 

 

 

 

[     자궁내막증식증     ]

 

#마산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식증

자궁에 생기는 병으로

자궁의 내막이 생리 주기와 관련없이

비정상적으로 두껍게 증식되는 것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자궁의 내막은

생리 직후에 종이처럼 얇아져야 하지만,

1~2cm 이상까지도 두꺼워져 있는 경우,

자궁내막증식증 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식증의 발생 원인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이

체내에 과도하게 쌓이면

자궁내막세포의 증식이 촉진됩니다.

 

 

 

 

 

 

 

 

 

 

 

 

 

 

 

 

 

 

 

 

 

 

 

“자궁내막증식증은 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세포가 생길 확률이 높아져서

자궁내막암의 위험률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대표적인 증상

#마산생리통 #마산골반통 #마산성교통

 

 

 

 

 

 

 

 

 

 

 

 

 

자궁내막증의 증상

진통제로도 조절하기 힘든 심한 통증으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통증의 유형은 생리통, 만성골반통,

성교통, 배뇨통, 배변통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자궁내막증이 심해지면

염증을 유발하고 그로 인해

나팔관·골반 구조 등이 망가지거나 유착 되면서

임신이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마산생리과다 #마산부정출혈

 

 

 

 

 

 

 

 

 

 

 

 

 

자궁내막증식증의 가장 흔한 증상

생리 이외에도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출혈입니다.

 

 

 

 

 

 

 

 

 

 

 

 

 

 

 

 

 

자궁내막이 계속 두꺼워진 상태에서

생리가 아닌 시기에도 종종 떨어져 나와

이로 인한 출혈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출혈이 너무 과할 경우,

빈혈이나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진단과 치료 방법

#마산산부인과

 

 

 

 

 

 

 

 

 

 

 

 

 

자궁내막증은 병세에 따라서

진단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난소에서 자라는 자궁내막종

초음파로 확인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혈액검사(CA125)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치료해도

재발이 잦은 질환이기 때문에

예방하기 위해 약물 치료와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만약 가임기가 지났거나

임신 계획이 없다면,

비수술/수술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식증의 진단

초음파로 두께를 확인하고,

위치와 모양에 따라 판단을 합니다.

 

 

 

 

 

 

 

 

 

 

 

 

 

 

 

 

 

 

“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생리 직후(자궁 두께가 가장 얇을 때)에

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확진을 위해서는 자궁내막을 긁어내어

조직세포를 검사하는

자궁내막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식증은

간혹 자궁내막암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증식증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2년 주기로 꾸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자궁내막증식증은

여성 호르몬 중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의

길항작용 없이

난포호르몬(에스트로겐)의 지속적인 자극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황체 호르몬 요법(약물 복용 및 미레나 사용)으로

자궁내막이 얇아지도록 유도하는

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 요법으로 치료되지 않거나

향후 암으로 발전할 위험성이 높다면

자궁적출술이 권유되기도 합니다.

 

 

 

 

 

 

 

 

 

 

 

 

 


 

 

 

 

 

 

 

 

 

 

 

 

#창원제일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는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증식증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두 질환은 유사한 명칭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분들이 많습니다.

 

 

 

 

 

 

 

 

 

 

 

 

윗글을 통해 질환을 대비하고

예방하는 지름길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궁 ・난소 질환

꾸준한 정기검진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